RDT 3.0

CS/컴퓨터 네트워크

[컴퓨터 네트워크] 18. Transport Layer (4) : rdt 3.0

rdt 3.0rdt 2.2 까지는 data corruption 이 발생했을 때, 이를 대처하는 방법을 기술한 프로토콜이었다.rdt 3.0 에서는 여기에 더해 underline 채널에서 데이터가 유실되어 목적지에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았을 때 대처하는 방법을 추가적으로 기술한 프로토콜이다.(즉, loss 에 대한 대처 방법이다.) rdt 3.0에서는 데이터 loss가 발생했을 때도 데이터를 다시 전송하는 방법으로 해결하려고 한다.그래서 데이터를 전송한 뒤 기다리는 시간(타이머)을 정해놓고, 타이머의 시간이 다 지나도 ACK가 오지 않으면 재전송한다. 타이머의 시간은 transmission delay + propagation delay + queueing delay 를 모두 고려해서 최소한 1RTT..

에버듀
'RDT 3.0'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