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ck ( 스택 ) 이란 스택이라는 자료구조는 매우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자료구조이다. 스택이라는 말 자체가 이미 이 자료구조에 대해 모든 걸 설명하고 있다. 보통 스택이라고 하면 어떤 것들이 쌓여있는 형태를 의미하는데, 스택이라는 자료구조도 무언가를 쌓는 형태를 자료구조화 한 것이다. 가령 책이 한 무더기 쌓여있다고 해보자. 중간에 있는 원하는 책을 찾아 꺼내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가장 당연하게 떠오르는 방법은 맨 위에 있는 책부터 하나씩 하나씩 확인하면서 찾을 것이다. 중간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데 책을 무더기로 들춰가면서 찾는 것은 너무 힘들지 않을까 그 책 무더기에 새로운 책을 여러권 놓는다고 해보자. 그러면 가장 먼저 놓은 책이 제일 밑에 놓이고, 가장 나중에 놓은 책이 맨 위에 놓이는..
https://www.acmicpc.net/problem/3015 3015번: 오아시스 재결합 첫째 줄에 줄에서 기다리고 있는 사람의 수 N이 주어진다. (1 ≤ N ≤ 500,0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각 사람의 키가 나노미터 단위로 주어진다. 모든 사람의 키는 231 나노미터 보다 작다. 사람 www.acmicpc.net 개인적으로 플레 난이도 치고는 풀만한 문제라고 생각한다. 중복되는 키가 연속으로 들어오는 경우를 체크하는게 고민 포인트. 내가 푼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다. 0. 맨 처음에 들어오는 키는 그냥 스택에 넣는다. 1. 수를 입력받으면 해당 수와 스택의 탑에 있는 값을 비교한다. 1.1 탑에 있는 값 > 새로 들어온 값 인 경우 (키가 감소) 탑에 있는 값과 새로 들어온 값이 서로..
https://www.acmicpc.net/problem/17299 17299번: 오등큰수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에 수열 A의 원소 A1, A2, ..., AN (1 ≤ Ai ≤ 1,000,000)이 주어진다. www.acmicpc.net 난이도가 조금 있는 스택문제 알고리즘 분류가 스택이라는 것만 알아내면 아이디어가 어렵다기 보다는 구현이 조금 복잡하다고 생각한다. 오등큰수를 결정하는 제일 큰 기준은 '숫자의 등장 횟수' 이다. 따라서 숫자의 등장횟수를 미리 다 저장해둔다. 주어진 수열의 왼쪽부터 차례대로 순회하면서 해당 숫자의 등장 횟수를 스택에 저장해나가다 스택의 가장 위에 있는 수의 등장횟수보다 더 많은 등장횟수를 가진 수가 나타나면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