곱셈

CS/컴퓨터 구조

[컴퓨터 구조] 9. 곱셈, 부동 소수점

곱셈 초등학교때 배운 곱셈 방식을 이용하면 이렇게 곱셈을 한다. 컴퓨터에서도 같은 방식으로 곱셈한다. 위에 곱하는 1000 을 곱해지는 수 ( = 피승수, multiplicand ) 라고 하고 아래에 곱하는 1001을 곱하는 수 ( = 승수, multiplier ) 라고 한다. 곱셈은 그 특성상, n bit 수와 m bit 수를 곱했을 때, 최대 n + m bit 수가 나올 수 있다. MIPS 의 경우, 32bit 수와 32bit 수를 곱해 최대 64 bit 수가 결과로 나올 수 있다. 이 수는 레지스터 하나에 저장할 수 없기 때문에 2개 레지스터를 사용하여 저장한다. 그래서 곱셈과 관련된 명령어는 위와 같이 사용한다. mult 는 r, s 레지스터의 값을 곱한다. 결과는 hi, low 라는 별도 공간에..

CS/어셈블리

[SPARC] 14. 곱셈과 나눗셈 그리고 서브루틴

지난 글에서는 큰 수 덧셈과 뺄셈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간단하게 요약하면 큰 수를 더하고 뺄 때는 cc 명령어를 사용해 캐리를 넘겨주고, x 명령어를 사용해 캐리를 받아 여러 레지스터를 사용해 큰 수를 연산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SPARC 프로세서의 곱셈과 서브루틴에 대해 정리하고자 한다. 곱셈 곱셈은 기본적으로 bitshift 와 덧셈의 조합이다. 예를 들어 101 x 204 를 한다고 해보자. 초등학교 때로 돌아가 어떻게 큰 수의 곱셈을 했는지 따져보면 101 x 4 x 1 101 x 0 x 10 101 x 2 x 100 이렇게 곱셈을 하고 다 더해서 곱셈을 계산했던 기억이 있을 것이다. 컴퓨터도 마찬가지로 이진수에 대해 위와같은 연산을 함으로써 곱셈을 구현한다. 이때 1, 10 100 처럼 1, 2..

에버듀
'곱셈'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