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S/자료구조
[자료구조 및 프로그래밍] 8. 이진 트리의 순회
지난 글에서는 트리와 이진트리, 그리고 이진 트리를 만들 수 있는 가짓수인 카탈란 수에 대해서 정리하였다. 이번 글에서는 이진 트리를 순회하는 3가지 방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사람에 관점에서는 이진트리의 전체적인 모습이 보이기 때문에 특정 노드를 찾을 때 전체 이진트리에서 특정 노드를 바로 딱 보면 쉽게 알 수 있다. (글로벌 뷰) 하지만 컴퓨터 입장에서 이진트리를 탐색할 때는, 연결리스트 때와 비슷하게, 현재 자신이 보고 있는 노드 T와, 그 T의 ITEM(T), 왼쪽 노드 LEFT(T) , 오른쪽 노드 RIGHT(T) 만 본다. (로컬뷰) 이런 로컬 뷰가 재귀적으로 반복되기 때문에, 이진트리를 탐색할 때는 재귀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진 트리를 재귀적으로 탐색하는 방법에는 3가지가 있다. Preo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