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CS/블록체인

[블록체인] 3. 블록체인의 구조와 해시 함수

이제부터 비트코인과 블록체인의 기술적인 내용을 다루려고 한다.블록체인은 이름 그대로 여러 블록들이 서로서로 고리를 물고 체인처럼 연결된 구조를 하고 있다.이 구조로 어떻게 탈중앙화된 화폐를 만들 수 있을까? 우선 비트코인에는 '트랜잭션' 이라는 개념이 존재한다.이 트랜잭션은 비트코인을 사용해서 발생하는 모든 거래 정보를 나타낸다.Alice가 Bob에게 1비트코인을 지불하고 상품을 받는 거래를 한다고 한다면,'엘리스가 밥에게 1비트코인을 지불한다' 라는 행위가 트랜잭션이 되는 것이다. 이때 비트코인에서 발생하는 모든 트랜잭션에는 '서명'이 필요하다.비트코인은 Permissionless 블록체인이라 누구나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기 때문에,이 트랜잭션이 '내가' 발생시킨 트랜잭션임을 확실하게 서명을 통해..

CS/블록체인

[블록체인] 2. 블록체인의 활용

블록체인의 활용블록체인은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가 발단이 되어, 금융과 관련된 여러가지 문제를 기술로 해결하려는 시도에서 등장한 산물이다.따라서 블록체인은 그 활용 분야도 금융 분야에서 많이 활용된다. 1. Payment System비트코인의 등장 배경은 결제 시스템을 중앙화된 은행과 정부 기관에 의존하지 않는 것이 등장 배경이었다.따라서 결제 시스템에서 대표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블록체인을 통해서 일종의 입출금 장부를 모두가 공유하고 서로 서로 검증하여 신뢰를 얻는 것이다. 2. Venture Capital크라우드 펀딩과 같이 돈을 모으는 데에도 활용할 수 있다.블록체인은 기술 특성상 내부에 '코드' 를 집어 넣을 수도 있다. (스마트 컨트랙트)이때 내가 투자받은 금액에 대해서 좋은 성과를 낼 때마다 ..

CS/기초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3. ER-Model (Entity, Relationship, Key)

데이터베이스 설계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하는 과정은 크게 3단계가 있다. 1. 요구사항 분석 (requirement analysis)정말 장인 급으로 프로그래밍을 잘하지 않는 이상, 우리는 설계를 잘 할 수 있어야 한다.설계를 잘하려면 먼저 고객이 자연어로 말하는 요구사항을 잘 분석해서 이를 토대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수 있어야 한다. 2.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conceptual database design)고객의 요구사항을 분석했다면, 그 결과를 토대로 먼저 개념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한다.이때 UML, ERD 등을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설계할 수 있다. 3. 논리적 데이터베이스 설계 (logical database design)데이터베이스 설계가 끝났다면, 실제로 사용할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고..

CS/기초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2. 트랜잭션

트랜잭션트랜잭션(transaction)은 원자성이 있는(atomic, 쪼개지지 않는) 데이터베이스 내 일련의 동작들을 말한다.데이터베이스 내 동작들이라고 한다면, 당연히 데이터의 읽고 쓰기 과정을 말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공동 계좌가 하나 있다고 생각을 해보자.이 계좌에는 1만원의 돈이 들어있다.그리고 '공동' 계좌이기 때문에, 계좌에서 돈을 넣고 빼는 행위는 여러 사용자에 의해서 병행으로 발생할 수 있다. 만약 내가 이 계좌에서 1000원을 출금을 할 때 필요한 과정을 생각해보면 다음과 같이 생각할 수 있다. 1.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인가를 받아 접근한다. (은행 계좌라면 본인 인증은 필수 일 것이다.)2. 계좌의 잔액을 조회한다. (10000원 read)3. 만약 계좌의 잔액이 1000원보다 많..

알고리즘 (PS)/BOJ

[백준] 13549 - 숨바꼭질 3 (BFS 풀이)

최단 경로 스터디 자료를 만들다가 BFS로 최단 경로를 찾는 연습문제로 숨바꼭질이 생각나서 다시 풀어봤다.그런데 단순하게 BFS로 풀릴 줄 알았는데 맞왜틀을 해서 충격을 받았다.. (심지어 과거의 나는 1트만에 풀었었다..) 과거에 풀었던 풀이는 우선순위 큐를 이용한 다익스트라 풀이였다.이 풀이는 정말 다익스트라의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곧이 곧대로 사용하는 것이니 틀릴 여지가 거의 없다. 그런데 BFS로 이 문제를 푸는 경우에는 여러가지를 고려해야 했다.from collections import dequen, k = map(int, input().split())visit = [False] * 200001d = deque()d.append((n, 0))visit[n] = Truewhile d: now..

CS/블록체인

[블록체인] 1. 블록체인 개요

블록체인 기반 지식인터넷 계층과 프로토콜Ethernet : 데이터링크 계층의 핵심적인 기술, 이더넷을 통해 LAN이 만들어졌다.TCP/IP : 각각의 LAN을 연결시키는 기술. 이 기술로 인터넷이 등장했다.HTTP : 인터넷 상에서 콘텐츠를 주고받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SSL/TLS : 인터넷의 보안과 관련된 계층 & 프로토콜. 요즘은 TLS를 주로 사용한다.이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내가 보낸 메세지를 상대방이 탈취했을 때, 원본 메세지가 무엇인지 알 수 없게 만들 수 있고, 메세지를 조작해서 보내더라도, 수신자가 메세지의 조작 여부를 알 수 있다. 암호학인터넷이 발달한 이후, 인터넷을 통한 전자상거래도 활발히 발생하기 시작했다.이렇게 인터넷을 통해 돈이 오고 가기 시작하면서 데이터의 암호화에 대한 중요..

CS/기초데이터베이스

[데이터베이스] 1. 데이터베이스와 DBMS 개념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거대한 통합 데이터 저장소 (data collection) 프로그램이다. (DBMS는 소프트웨어다.) RDBMS (Relational DBMS)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엔티티(개체)와 엔티티 사이의 관계(릴레이션)을 통해 실제 세상을 모델링한다.엔티티는 모델링하는 환경을 구성하는 요소이다. 학생이 수업을 듣는 환경을 모델링한다면, 엔티티는 '학생'과 '수업'으로 구성된다.그리고 학생과 수업은 '수강한다' 라는 관계로 이루어져있다. 나는 엔티티는 명사, 관계는 동사로 구성하기 좋다고 이해했다.  "학생이 수업을 수강한다" 학생 - 수강하다 - 수업 File System vs DBMS컴퓨터가 ..

자기계발/생각 정리

2024-1 방학 회고

원래는 개강하자마자 회고를 쓰려고 했는데, 이것 저것 한다고 이제야 쓰게 되었다.2024년 목표를 한번 점검하고 방학을 돌아본 뒤 반성과 2학기 목표를 새롭게 세워보려고 한다. 개발 / 전공과 관련된 목표  1. 전공 과목 공부하기집에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책을 사둔 게 있어서 이걸로 운영체제를 예습해보려고 생각하고 있었는데 정말 생각만 해버리고 말았다...ㅎ 2학기에는 DB, 운체를 드디어 배운다.이 과목 2개만큼은 꼭 A+을 받고 싶다.물론 모든 전공 과목 A+을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서 열심히 공부해야지  2. 전공 과목 자주 복습하기원래는 전공 복습하는 앱이나 사이트를 만들어서 복습해보려고 했는데, 이런 저런 일이 많이 생겨서 못하게 되었다.근데 이거랑 관련해서 정말 신기한 건..

자기계발/동아리

[CEOS] 19기 활동 후기

바쁘다고 핑계대고 6~8주차 개발 스터디 회고와 전체 세션 회고는 안 적었지만, 20기 모집글이 올라오는 것을 보고 지금 적어두면 세오스 활동을 고민하시는 분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아 활동 후기를 전반적으로 적어보고자 한다. 쓰지 못했던 6~8주차 개발 스터디 회고6~8주차는 도커, CI/CD, AWS에 대한 내용을 학습했다.도커와 AWS를 이용하여 프로젝트를 배포하는 방법, 깃허브 액션을 사용하여 배포를 자동화하는 방법에 대해 스터디를 나누었는데, 난이도가 있다보니 과제를 온전히 성공한 사람이 많지는 않았다.나도 다른건 다 됐는데, DB를 도커로 띄운 뒤, 도커로 띄운 스프링과 연동하는 부분을 결국 해결하지 못했다..ㅎ 도커, 깃허브 액션, AWS 를 사용해본 적이 없는 사람이라면 3주만에 모든 과제를..

알고리즘 (PS)/BOJ

[백준] 19663 - Mountains

https://www.acmicpc.net/problem/19663 정말 어려웠던 세그트리 연습문제처음에는 뭔가 DP일 것 같았고, 실제로 분류에도 DP가 있어서 DP로 풀이를 짜고, 세그트리로 최적화시키는 건가 싶었다.하지만 아무리 고민해도 DP 점화식이 생각이 안났고, 세그트리로 구현하는 방법만 계속 떠올랐다. 문제 이해수열이 주어질 때, 주어진 수열에서 인덱스 순에 맞게 3개의 수를 뽑아 만든 임의의 튜플 (x, y, z) 에 대해, x  첫 번째 시도알고리즘 분류에 있는 '정렬' 에서 힌트를 얻어 먼저 데이터를 높이순으로 정렬한다.어떤 기준점 y가 정해졌을 때, 이 값보다 작은 값들 중, y보다 왼쪽에 있는 값의 개수, 오른쪽에 있는 값의 개수를 센 뒤,두 값을 곱한 결과를 정답에 더해주면 된다...

에버듀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6 Page)